본문 바로가기
창업 성공기

더불어 성장하는, 인센티브의 역설(paradox of incentives)

by 창의지기 2024. 9. 2.
728x90
반응형

인센티브의 역설(paradox of incentives)은 전통적으로 인센티브가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여겨졌던 것과 달리, 실제로는 인센티브가 성과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하는 개념입니다. 인센티브의 역설을 지지하는 연구 사례를 5가지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소명의식을 통한 근본적인 동기부여 방안을 제시하겠습니다.

1. 데시와 라이언의 자기결정 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 사례 설명: 데시(Deci)와 라이언(Ryan)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보상이 상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그들의 연구에서, 내재적으로 동기 부여된 사람들이 금전적 보상을 받게 되면, 오히려 내재적 동기가 감소하여 전체적인 성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재미와 만족감을 느껴 스스로 참여하던 활동에 보상이 주어지면, 보상이 중단될 때 그 사람의 참여도와 성과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 분석: 이 연구는 사람들에게 외재적인 보상이 내재적인 즐거움과 성취감을 훼손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내재적 동기의 감소'가 성과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덕워스의 "그래디추드 실험" (Duckworth's "Grit" Experiment)

  • 사례 설명: 앤젤라 덕워스는 "그릿(Grit)"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열정과 인내심이 중요한 동기 부여 요소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보상이 아닌, 오랜 시간 동안 목표를 추구하고 도전하는 것이 더 높은 성과와 성공을 이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에서는 단기적인 보상이 아닌 장기적인 목표와 내재적 동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분석: : 보상이 단기적 성과에 집중하게 만들어 장기적 목표와 인내력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이는 '그릿'과 같은 요소들이 근본적으로 더 중요한 동기 부여 요소임을 강조합니다.

3. 글로브와 스탠리의 창의력 연구 (Glucksberg's Candle Problem Experiment)

  • 사례 설명: 샘 글로버버그는 "양초 문제(Candle Problem)" 실험을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에서 외적 보상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창의적인 과제를 주고, 일부에게는 금전적 보상을 약속했으며, 다른 일부는 보상 없이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금전적 보상을 약속한 그룹은 오히려 성과가 낮았으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졌습니다.
  • 분석: 이 연구는 보상이 특히 창의력과 같은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보상이 좁은 목표 달성에 집중하도록 유도해 더 넓은 창의적 사고를 방해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4. 에드워드 디시의 퍼즐 연구 (Deci's Puzzle Experiment)

  • 사례 설명: 에드워드 디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퍼즐 풀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에게 퍼즐을 푸는 동안 금전적 보상을 제공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결과, 보상을 받은 그룹은 보상이 중단된 후 퍼즐 풀기 활동에 대한 흥미를 급격히 잃었습니다. 반면, 보상이 없었던 그룹은 활동에 대한 흥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 분석: 이는 보상이 종료되었을 때, 외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사람들이 처음에 가졌던 자발적인 흥미가 보상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5. 피쉬바흐와 테넨바움의 목표 설정 연구 (Fishbach & Tenenbaum's Goal Setting Study)

  • 사례 설명: 피쉬바흐와 테넨바움은 사람들에게 단기적인 보상을 제시했을 때, 장기적인 목표 달성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연구했습니다. 그들은 단기적 보상이 장기적 목표 달성에 필요한 노력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에게 즉각적인 보상이 주어질 경우, 그들은 장기적인 목표를 위해 필요한 규칙적인 운동이나 식습관을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 분석: 이 연구는 즉각적인 보상이 사람들에게 긴 시간 동안 지속해야 하는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속적인 노력을 방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극복 방안: 소명의식을 통한 근본적인 동기부여

  1. 내재적 동기 강화: 인센티브 시스템에서 내재적 동기 요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업무에 대한 자율성, 역량 강화의 기회 제공, 그리고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강조하는 문화가 필요합니다.
  2. 소명의식 부여: 직원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소명의식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조직의 미션과 비전을 명확히 전달하고, 직원들이 자신의 역할이 조직의 목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이해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3. 장기적 목표 설정과 인내력 증진: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목표 설정이 필요하며, 직원들이 이를 인식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직원들에게 장기적 성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그 과정에서 인내와 열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4. 협업과 공동체 의식 강화: 개인의 성과뿐만 아니라 팀의 성과와 조직 전체의 성과에 가치를 두는 문화를 조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이 조직에 기여하는 의미를 느끼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5. 보상 체계의 재설계: 단기적인 성과나 목표 달성에만 치중하지 않고,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을 위한 보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 기회 제공, 자기 개발을 위한 지원, 그리고 장기적 성과에 대한 보상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센티브의 역설을 극복하고, 직원들이 보다 의미 있는 목표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도록 돕는 근본적인 동기부여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